티스토리 뷰

Intra Aortic balloon pump(IABP): 

대동맥 내 풍선 펌프 






중환자실 기구 설명을 하다보니, 따로 정리해놓은 내용들이 아깝기도 하고 오랜만에 보니 반갑기도 해서 추가적인 내용들도 정리해보았다. Intra Aortic balloon pump(IABP)인 대동맥 내 풍선 펌프는 심장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심장근육의 수축력이 저하되어 전신으로 산소 운반이 적어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기계장치로 심장의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대략적으로 원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보면 심장에서 나오는 대동맥 내에 풍선 카테타를 삽입하고 외부에 위치한 펌를 이용해서 카테타의 수축과 팽창을 조절하게 되며 대동맥압을 주기적으로 변화를 주어 혈류를 증가시키게 하는 기구 이다.


대동맥 내 풍선 펌프는 심실 보조장치이다.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특수한 풍선을 대동맥 내로 삽입한 후 심장박동에 따라 확장과 수축을 계속하여 심장에서 보내는 혈류량을 도와주는 장치이다.


원리는 풍선은 정밀검사 때와 마찬가지로 대퇴동맥을 통해 삽입하게 되는데 심장의 수축기에는 풍선이 수축되어 심장에서 몸으로 혈류가 가는 것을 돕게 되고 심장의 확장기에는 풍선이 확장되어 대동맥 내에 남아 있는 혈액을 모두 몸으로 보내게 된다. 이럴 경우 심장에는 두 가지 점에서 도움을 주는데 하나는 풍선이 늘어났다가 수축됨으로써 혈류 저항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심장의 수축기에 힘이 덜 든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심장확장기에 풍선이 확장되므로 대동맥에 남아 있는 혈류를 추가로 보내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10~40%의 심박출량 증가를 가져온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확장기에 대동맥의 판막부전이 심한 환자는 이 풍선펌프술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심장수술 후 심근부전은 2~1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중 60~90%는 IABP처치에 의해 안정되고 있으며 나머지 약 0.2~1%에서는 더 강력한 심실 보조장치인 바이오 펌프(Biopump)나 좌심실 보조장치(Pneumatic ventricular assist device)가 필요하다. 


합병증은 주로 풍선펌프 삽입으로 인한 혈관손상, 혈전형성, 색전증, 하지혈류 차단으로 인한 괴사, 대동맥박리증 또는 파열, 출혈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드물게는 감염, 용혈, 혈소판감소증, 풍선의 공기누출 등이 있을 수 있다. * 심장의 기능이 좋아지면 심장박동에 따라 1:1로 도와주던 것을 점차 줄여서 1:2, 1:3, 1:4로 줄이고 심박출량을 본 뒤 완전히 제거한다.


적응증은 주로 개심슬 후 좌심실 기능부전일 경우 중등도 이상의 수축촉진제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형균혈압이 60 mmHg 이하이거나 수축기혈압이 80 mmHg 이하인 경우 심박출 계수가 1.8-2.0L/min/m2 이하인 경우, 좌심방압이 20-25 mmHg 높은 경우, 체혈관 저항이 2500 dyne-sec-cm-5 보다 높은 경우이다. 또한 급성심근경색증의 합병증이나 최대의 약물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불안정 협심증이나 심실성빈맥, 급성 심근기능부전이나 만성심부전증 악화의 경우 적용할 수 있다.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