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종(emphysema) 과거에는 폐기종과 만성 기관지염이라는 용어들이 진단명과 혼용되어 흔히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라는 병명으로 진단되어 지고 있다. 저산소의 주원인이 되는 폐기종에 대한 병리생리학은 호흡생리학에 대한 기초적 원리와 관련된 우수한 자료를 많이 제공해준다. 폐기종이란 하기도 부분인 기관세지의 끝 부분이 위축되거나 파괴되는 현상뿐만 아니라, 폐포벽이 파괴(탄력성의 증가로) 되는 것이 특징이다. 만성적인 기침과 가래, 호흡곤란 등이 주요 증상이다. 그 외 숨쉴 때 천명음(쌕쌕거림)과 흉부 압박감 등의 증상도 있을 수 있으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에 특징적인 증상은 아니다. 치료방법으로는 위험인자의 제거, 약물 치료, 비약물적인 치료 등으로 구분 가능하다. 위..
고혈압에 사용하는 약물 고혈압에 대해서 이전 포스팅에서 간단하게 설명해보았다. 이번에는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요한 범주의 약물을 설명해려고 한다. 아마 뒤에서 설명할 심부전증 같은 부분과도 동일한 부분이 있겠지만 우선, 고혈압을 기준으로 나열해보려고 한다. 첫번째로 이뇨제이다. 나트륨과 소변 배출을 증가시킨다. 총 말초 저항의 아주 작은 변화와 함께 심박출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두번째로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주로 심박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항고혈압 효과를 발휘한다. 세번째로 칼슘 채널 차단제이다. 혈관 평활근 세포로의 칼슘 유입을 감소시켜 덜 강하게 수축시키고 전체 말초저항을 저하시킨다. 놀랍게도 이들 약품이 혈압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약물 중 일부는 심장..
천식(asthma) 천식을 요약해보면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이며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천식은 기도를 둘러싼 평활근이 강하게 수축되어 기도의 저항을 증가시켜 생기는 간헐성 질환이다. 천식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사람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알레르기, 바이러스 감염, 환경요인에 대한 민감도 등에 의한 기도의 만성적인 감염이다. 중요한 점은 찬 공기나 건조한 공기에서 운동을 할 때, 흡연, 환경공해, 바이러스, 알레르기항원, 기관지수축물질 등에 노출되게 되면 기도 내 평활근이 과민하게 반응하여 강하게 수축을 한다는 것이다. 현재 환경 공해 때문에 천식환자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기관지 천식의 자가 진단법이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찬 공기, 담배연..
- Total
- Today
- Yesterday